역사 이야기/한국사

“조선 궁중 뷰티 장인, 상궁의 뷰티 노하우 전격 공개!”

tipntalk 2025. 8. 16. 16:00

조선 왕실의 상궁들은 어떻게 아름다움을 가꿨을까요? 왕실 뷰티 비법, 화장품, 헤어 스타일링까지 쉽고 재미있게 알려드립니다!

궁중 뷰티 전담 팀 -상궁

상궁이란 무엇일까? 

‘상궁’은 궁중에서 왕비나 왕실 여성들을 가까이서 모신, 전문 미용사 겸 시녀였어요. 궁녀(궁녀 전체)를 뜻하는 ‘궁녀(궁女)’ 안에서도, 이들을 일컫는 말이죠.
세종 때부터 제도화된 상궁들은 궁중 뷰티 전담 팀이었답니다.

 

상궁의 뷰티 핵심 키워드, 삼백·삼흑·삼홍

조선 미인이라면 이런 기준은 기본이었어요:

  • 삼백 (三白): 하얀 피부, 하얀 눈, 하얀 이
  • 삼흑 (三黑): 까만 눈동자, 까만 눈썹, 까만 머리카락
  • 삼홍 (三紅): 붉은 입술·볼·손톱

즉, 겉으로 너무 튀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포인트는 확실히! 이게 진짜 궁중 뷰티였던 거죠.

 

최애 뷰티 아이템: 인삼물 & 연지

  • 인삼물: 인삼을 우린 물로 세안하거나 마시면, 피부에 생기가 돌았대요. 인삼의 사포닌 덕분이라죠.
  • 연지: 홍화꽃(서화)로 내추럴한 붉은색을 입술·볼·이마에 살짝 칠했어요. 요즘 표현으로는 “한 듯 안 한 듯” 스타일이에요.
    얇게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것이 포인트였죠

 

헤어 스타일과 장식, 그게 또 예술이었죠

  • 비녀로 깔끔하게 똬리 머리를 고정하고,
  • 댕기첩지, 첩지 또는 노리개로 장식을 했어요.
    머리카락은 정갈하게 묶되, 품위 있게 꾸미는 게 핵심이었죠.

 

한눈에 정리

항목내용
핵심 뷰티 기준 삼백·삼흑·삼홍 (하얀 얼굴, 까만 눈썹·머리, 붉은 입술·볼)
스킨케어법 인삼물로 세안, 연지로 자연스런 혈색 표현
헤어와 장식 비녀·댕기·첩지로 정갈하게 꾸미기
상궁의 역할 왕실 여성의 뷰티 담당, 시술 및 장식 관리까지

 

 

상궁은 단순한 시녀가 아니었어요. 아름다움을 완성하는 뷰티 크리에이터였죠. 최소한의 화장으로 최대한의 우아함을 살렸던 조선 궁중 뷰티, 정말 매력적이지 않나요?

👉 여러분이 따라해보고 싶은 조선 뷰티 비법은 무엇인가요? ‘인삼물 세안’, ‘얇은 연지 화장’, ‘전통 헤어 장식’ 중 하나 골라 댓글에 남겨주세요!